강의계획서

교과목명 창의적 정보통신공학설계 영문교과목명 Creative Design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교과목코드 ICE1002 주관학과(부) 정보통신공학과
작성일 2022.07.17 작성자 김학일 강의요일/시간 화 1,화 2,화 3,목 1,목 2,목 3
학수구분 전공필수 교과영역 전공설계 인증구분 인필
대상학년 1 분반 004 강좌평가 방법 상대평가
학점구성 3학점 (이론:0 , 설계:3 , 실험/실습:0) 년도/학년/학기 2022/1/2
담당 성명 김학일 연구실 항공-307 강의실 하-230
상담시간 화, 목: 13:00 ~ 14:00 전화번호 032-720-9085
E-MAIL hikim@inha.ac.kr 홈페이지 http://vision.inha.ac.kr/
특별지원관련 장애학생의 원활한 수강을 위하여 지원이 필요한 경우 담당교원 및 장애학생지원센터(☎860-7067)와 사전에 협의할 수 있습니다.
교수 프로필 본 강의는 팀티칭 강의임:

1. 김학일 교수

(학력)
1979 - 198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제어계측공학과 학사.
1983 - 1984: (미) Case Western Reserve Univ. 전기공학과 석사과정.
1984 - 1985: (미) Purdue Univ. 전기/컴퓨터 공학과 석사.
1985 - 1990: (미) Purdue Univ. 전기/컴퓨터 공학과 박사.

(경력)
1990 - 2001: 인하대학교 자동화공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역임.
1998 - 1999: (캐) Simon Fraser Univ., School of Engineering Science 방문교수.
2001 - 2021: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교수, 현 겸임교수
2001 - 현재: 한국생체인식포럼 부의장 역임, 현 의장
2002 - 현재: ISO/IEC JTC1-SC37(Biometrics) 국내 및 국제 전문위원
2004 - 2008: Pattern Recognition Letters, Associate Editor
2014 - 현재: (주)비젼인 대표이사
2017 - 현재: 한국공학교육인증원 국제위 위원장 역임, 현 국제업무 담당 부원장
2019 - 현재: 인하대학교 국제학부 학부장 역임, 국제학부 ISE공학과 학과장
2021 - 현재: 인하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 교수

(관심분야 연구)
인공지능 (AI), 컴퓨터비젼 (Computer Vision), 자율주행자동차 (Autonomous Vehicle), 지능형 영상
감시 (Intelligent Surveillance)

2. 최지은 교수

(학력)
2004.8.: 인하대학교 미술교육학과 시각디자인전공, 학사
2008.8.: 인하대학교 회화과 서양화전공, 석사
2019.8.: 인하대학교 디지털예술공학, 디지털예술공학박사.

(경력)
2020.7.-2021.6.: 인하대학교 자율주행연구소, 박사후연구원
2021.7.-현재: 인하대학교 미래자동차 사업단, 산학연구교수

(관심분야 연구)
공학교육, 융합교육, Design Thinking, 모빌리티 디자인
프로그램
학습성과
(PO)
NO 내용 중요도
1 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정보기술을 정보통신공학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2 정보통신공학 데이터를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이나 가설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능력
3 정보통신공학 문제를 정의하고 공식화할 수 있는 능력
5 정보통신공학의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6 정보통신공학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팀의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7 정보통신공학의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8 정보통신공학적 해결방안이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9 정보통신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전공능력 1. 의사소통 및 정보통신 마인드 : 원활한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팀원 간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 / 탁월한 정보통신 마인드로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능력
2. 공학 문제 정의 및 해결 : 정보통신공학 문제를 정의하고 공식화한 후 빠른 시간에 해결하기 위해 최신정보, 기존 결과, 적절한 도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강의개요 - 창의적 정보통신공학설계는 공대에 처음 입학하는 학생들에게 가능 중요하게 여기는 창의성을 배양하고, 경쟁력 있는 우수한 엔지니어로 성장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
- 학생들은 공학설계 개념, 공학설계 절차, 제품 구현 과정 및 설계의 창의성 등에 대해 배우고 디자인 사고 과정(Design Thinking Process)을 통해 그룹별 설계 프로젝트 수행
- 이 과정은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공학적 문제를 발굴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설계능력, 팀워크, 발표능력 등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1. 공학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이해할 수 있다.
2. 창의적 공학설계 방법론을 이해하고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구현할 수 있다.
3. 창의적 공학설계 프로젝트 구현을 위해 Design Thinking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교과목
학습성과
NO 강의목표 프로그램 학습성과 관련성(PO)
1 공학설계를 위한 기초 지식 활용, 자료 분석 능력 배양 1,2
2 공학설계 방법론 이해 및 설계 역량 배양, 설계를 위한 아이디어의 도출과 구현 능력 배양 3,5
3 공학설계를 위한 협업 능력 배양과 공학설계의 사회적 영향 및 책임 이해 6,8
4 의사소통 및 발표자료 작성 능력 배양 7
5 공학설계의 실패 사례에 대한 고찰과 공학도의 역할 이해 9
주교재
NO 교재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도 ISBN
조회된 내용이 없습니다.
부교재
및 참고자료
NO 교재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도 ISBN
1 창의적 공학설계 김은경 한빛아카데미 2020 9791156644934
강의진행방식 1. 본 수업은 플립 러닝학습 (Flipped Learning )으로 진행
- 화요일(자기주도학습): 동영상 수업
- 목요일: 오프라인 수업
※ 목요일 오프라인 수업 전 동영상을 통해 이론적인 지식 습득
※ 동영상은 20~25분 이내의 동영상 3개를 I-Class 주차별 항목에 업로드할 예정.
동영상과 관련된 수업자료 제공
※ 동영상 수업에는 간단한 개인활동을 진행하고 해당 주차별 게시판에 업로드하고
목요일 수업에서 관련 활동, 토론 및 실습 등이 진행됨
※ 11주부터 화/목요일 모두 오프라인 수업
2. 본 수업에서는 총 2개의 팀 프로젝트를 진행함
3. 팀 프로젝트 중에 제시한 공학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토론과 개인 혹은 팀활동을 수행해야 함
4. 본 수업은 디자인 사고 과정 (Design Thinking Process)로 수행
5. 팀 프로젝트를 통한 학생들 간의 토론과 발표를 통해 수업 과정을 운영
Blended 방법
수강시
유의사항
- 출석(10 points): 4번 지각 → 1번 결석 / 결석 8이상 → F 학점
※ 질병으로 인해 결석할 경우, 다음 주차 수업에 ‘진단서’를 제출하면 출석 인정
- 추가 가점: 최종 점수에서 1점. 팀장에게 부여
- 매주 목요일 오프라인 수업 전 수요일까지 ‘I-class> 교과목 주차별 항목 폴더’의 동영상 시청 완료와
간단한 활동 결과를 업로드 해야 함
- 본 수업에서 제시하는 지침에 따라 활동 결과 및 팀 프로젝트 결과를 제출해야 함
- 출석 기준 (Attendance criteria): 동영상 시청 완료를 못하였을 경우 결석으로 처리
. 결석 0번 → 10점 / 결석 2번 → 7점 / 결석 4번 → 5점 / 결석 6번 → 3점 / 결석 8번 → F 학점
※ 위 출석 기준은 화요일 동영상 시청을 포함한 결석 처리임. 수업 전 동영상 시청을 반드시 완료
- 담당 교수에 따라 세부 평가 방법이 다소 다를 수 있음. 수업시간에 자세히 설명할 예정
- 고학년 수강생에게는 다소 다른 강의 내용과 진행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
선수과목
e-learning
중간고사유형
평가기준
중간고사 기말고사 출석 과제 퀴즈 토론 기타
0% 0% 10% 25% 10% 45% 10% 100%
평가기준
세부내역
. 토론: 중간제안서 15점 + 최종발표평가 30점 . 과제: 교수가 제시하는 리포트 25점 . 기타: 동표평가 10점
첨부파일 20222_창의적 정보통신공학설계_202209.pdf
20222_창의적 정보통신공학설계_202209.pdf

주별 세부내용

강의 진행 계획서
주차 구분 내용 강의 방식
1 강의주제 교과목 소개, 운영 방법 및 평가방법 소개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08/30) 교과목 소개 - 동영상 수업 (I-Class 참조) (09/01) 창의적인 자기 소개 - 오프라인 수업
시험과제 자기소개 준비 (max 3 min.)
2 강의주제 공학 및 창의성 / 공학설계 및 창의적 공학설계 프로세스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09/06) 온라인 강의 (09/08) 오프라인 강의 - 공학 및 창의성 / 공학설계 및 창의적 공학설계 프로세스
시험과제
3 강의주제 1) 디자인 사고(Design Thnking)을 통한 창의적 공학 설계 이해 2) Ardunio 및 시뮬레이션 환경 사례 소개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09/13) 온라인 강의 (09/15) 오프라인 강의 -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프로세스 - Arduino의 기본 및 관련 구성요소 - 실제 Arduino 시뮬레이션 작업에 대한 실용적인 가이드
시험과제
4 강의주제 1)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Design Thinking Process)를 통한 문제 발견 2) Arduino 및 Analog, Digital pins 인프라의 프로그래밍 구성요소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09/20) 온라인 강의 (09/22) 오프라인 강의 - step 1: 공감하기 - 최근 사회에서 대두되는 문제 발견 및 사례 분석 - Arduino의 프로그래밍 구성요소 - Analog, Digital pins infrastructure
시험과제
5 강의주제 1) step 1: 공감하기: 사용자 의견 수렴 및 분석 2) Arduino의 특성 표시 (LED in context)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09/27) 온라인 강의 (09/29) 오프라인 강의 - 각 팀별로 정한 주제의 사용자 의견 수렴 진행 - LED basics in Arduino / Analog and Digital pins in Arduino
시험과제
6 강의주제 1) step 2: 문제정의: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Design Thinking process)를 통한 문제 발견 2) Arduino의 센서 및 모터 주변 장치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10/04) 온라인 강의 (10/06) 오프라인 강의 - 문제정의와 프리젠테이션 - Arduino의 센서 인터페이스 / Arduino의 모터제어 장치
시험과제
7 강의주제 1) step 3: 아이디어 발상 2) 7 Segment display aspect in Arduino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10/11) 온라인 강의 (10/13) 오프라인 강의 - 다양한 문제해결 기법을 통해 아이디어 도출 - Arduino의 7-segment 디스플레이 이해 및 구현
시험과제
8 강의주제 중간고사 기간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10/18, 20) 수업을 진행하지 않으며, 9주차 제안서 발표 진행 - 6주차 중간발표 진행 공지 예정
시험과제
9 강의주제 중간발표 진행 (화,목)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10/25) 오프라인 발표 (10/27) 오프라인 발표 - 사회문제와 선행자료 분석을 통한 주제선정, 공감활동 및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도출결과 발표 - 중간발표 자료 제출 ※ 화, 목 모두 오프라인 수업에 참여
시험과제
10 강의주제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Design Thinking Process)를 통한 문제해결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11/01) 온라인 강의 (11/03) 오프라인 강의 - step 4: 프로토타입(Prototyping) (1) - 결과물 제작 방법 소개 및 설명
시험과제
11 강의주제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Design Thinking Process)를 통한 문제해결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11/08, 10) 오프라인 수업 - step 4: 프로토타입(Prototyping) (2) - 팀 프로젝트 설계 프로젝트 수행
시험과제
12 강의주제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Design Thinking Process)를 통한 문제해결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11/15, 17) 오프라인 수업 - step 4: 프로토타입(Prototyping) (3) - 팀 프로젝트 설계 프로젝트 수행
시험과제
13 강의주제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Design Thinking Process)를 통한 문제해결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11/22, 24) 오프라인 수업 - step 4: 프로토타입(Prototyping) (4) - 팀 프로젝트 설계 프로젝트 수행
시험과제
14 강의주제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Design Thinking Process)를 통한 문제해결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11/29, 12/01) 오프라인 수업 - step 5: 테스트 및 피드백 - 팀 프로젝트 설계 수행 - 최종 발표 평가 전 팀별 결과물 피드백
시험과제
15 강의주제 최종 팀발표 평가 및 대회 1회차 :
2회차 :
강의내용 ※ 자세한 진행 및 평가기준은 추후 공지 예정 * 16주 (12/15까지) - 성찰보고서, 교과목 설문 및 동료평가 자료 제출 ※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파일 참조
시험과제
16 강의주제 보강실시, 기초교양필수 기말고사 1회차 :
2회차 :
보강계획
휴업일 휴업사유 성명 휴업일 수업 보강 주간 수업 별도 보강 수업
조회된 내용이 없습니다.
시험과제

설계계획서

교과목명 창의적 정보통신공학설계 교과목영문명 Creative Design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과목코드 ICE1002 분반 004
담당교수 김학일 인증구분 인필
교과영역 전공설계 학점 3
프로그램
학습성과
NO 내용 중요도
1 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정보기술을 정보통신공학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2 정보통신공학 데이터를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이나 가설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능력
3 정보통신공학 문제를 정의하고 공식화할 수 있는 능력
5 정보통신공학의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6 정보통신공학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팀의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7 정보통신공학의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8 정보통신공학적 해결방안이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9 정보통신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교과목
학습성과
NO 강의목표 프로그램 학습성과 관련성(PO)
1 공학설계를 위한 기초 지식 활용, 자료 분석 능력 배양 1,2
2 공학설계 방법론 이해 및 설계 역량 배양, 설계를 위한 아이디어의 도출과 구현 능력 배양 3,5
3 공학설계를 위한 협업 능력 배양과 공학설계의 사회적 영향 및 책임 이해 6,8
4 의사소통 및 발표자료 작성 능력 배양 7
5 공학설계의 실패 사례에 대한 고찰과 공학도의 역할 이해 9
순번 항목 내용
1 설계과제(topic) 사회환경에서 대두되는 설계 프로젝트
교육내용(Contents) - 팀별로 문제 정의 및 도출 - 정의된 문제로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결과를 도출 - 다양한 장치 활용을 통해 컴퓨팅 사고력으로 주어진 문제해결
설계요소
(DesignElements)
목표설정
(OBjectives Setting)
제시된 주제에 부합하고 사용자 요구사항(needs)을 반영한 설계 목표 설정
합성
(Synthesis)
해당없음
분석
(Analysis)
- 팀을 구성하고 제시된 제시된 문제 및 솔루션 분석 - 설계안의 적절성, 구현 가능성, 유요성에 대한 분석
제작(Construction) MCU(Micro Controller Units)을 통한 프로토타입 수준에서 해당 장치를 활용하여 구현
시험(Testing) 제작된 시제품(또는 SW)의 웅영 성능 테스트
평가
(Evalution)
팀 간의 운영 상태 평가 및 문제점 파악
제한조건
(Constraints)
경제
(Economy)
수업에서 제공한 아두이노 키트 활용
환경
(Environment)
프로젝트 결과가 미칠 환경적 영향 고려
사회
(Social)
- 사회적 영향에 대한 고려 - 사회문제 극복 방안에 대한 고려
윤리
(Ethics)
사회 윤리적 측면에 대한 고려
미학
(Aesthetic)
해당없음
보건 및 안전
(Health and Safety)
최종 제품의 안정성에 대한 고려
생산성과내구성
(Productivity
and Durability)
제품 결과 도출 시 생산의 간편성, 제품의 내구성에 대한 고려
산업표준
(Industrial Stundard)
해당없음
설계결과물
(Products)
- 설계요소, 제한조건을 포함한 최종 팀프로젝트 발표자료 - 프로젝트 결과물 (demonstration)
평가방법
(Evalution Tools)
교수진의 평가, 학생자기평가, 동료평가